친절한 우주씨

사이트맵과 RSS란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요?

우선 우리는 지금까지 구글과 네이버의 검색엔진에 우리의 블로그가 검색될 수 있게 등록과정을 거쳤습니다. 

우리의 블로그가 검색 자체가 되기는 한다는 뜻이죠. 하지만 이 넓디 넓은 사막같은 인터넷 세상에서 검색을 통해 우리의 블로그로 유입이 된다는 것은 사실상 힘든 일 일것 같은데요, 그래서 조금 더 원활한 유입을 위해서 해줘야 하는 일이 오늘의 과정입니다.

 

사이트맵이란 '사이트 + 맵' 말그대로 우리 블로그의 지도같은 것을 의미합니다. 구글이나 네이버의 검색엔진이 우리의 블로그를 더욱 효율적으로 크롤링(대충 긁어간다는 뜻)해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우리는 사이트맵을 제출할겁니다. 

 

RSS 역시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네이버 검색 엔진에 규격에 맞게 블로그를 제출하여 검색 유입이 더 많아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목적입니다.

 

오늘은 사이트맵 파일 생성 / 사이트맵 파일 제출 / RSS 등록 이렇게 3가지를 진행할텐데 차근차근 따라오시면 됩니다.

 

1. 사이트맵 생성하기

아래의 사이트맵 생성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사이트맵 생성 사이트 :  XML-Sitemaps.com

 

Create your Google Sitemap Online - XML Sitemaps Generator

Installable version We offer a server-side script written in PHP language that you can install on your server and create sitemap for your website. The script doesn't have the limit on number of pages included in sitemap, although server resources required

www.xml-sitemaps.com

xml-sitemaps.com

 

Your Website URL 이라고 적혀있는 부분에 블로그의 주소를 넣고 START 버튼을 눌러줍시다.

 

 그럼 역시 봇이 열일을 하면서 우리의 웹사이트를 crawling 합니다. 조금만 기다려 주세요.

사이트의 정보량에 따라서 수분 - 수십분 정도가 소요되기도 합니다. 저는 약 14분가량이 소요되었습니다.

생성이 완료되면 하단의 'VIEW SITEMAP DETAILS' 부분을 클릭해주세요.

 

다음 화면에서 DOWNLOAD YOUR XML SITEMAP FILE 을 클릭하셔서 파일을 다운받으시면 생성과정은 마무리입니다.

2. 사이트맵 파일 올리기

이렇게 완성된 사이트맵을 이제 우리의 블로그에 업로드 해야 합니다. 예전에는 비공개글을 하나 올려서 첨부하는 방법으로 했었는데 서식관리라는 부분이 업데이트가 되었나보네요! 

 

블로그 관리 - 콘텐츠 - 서식관리 - 새 서식 쓰기 순서로 진행해주세요.

******) 여기서 주의할 점은, 우리가 원하는 사이트맵의 주소를 얻기 위해서는 신버전 에디터가 아닌 구버전의 에디터로 글을 작성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콘텐츠 설정에서 새로운 글쓰기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로 설정하고 진행합니다.

 

이후 사이트맵 파일을 첨부하여 업로드 해 줍니다.

 

 

이후 다시 글로 돌아와서 우측 상단의 HTML 버튼을 체크해줍니다.

 

그럼 위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요, 여기서 cfile2 ~ xml 부분이 우리가 필요로 하는 사이트맵의 주소입니다. 

편한 곳에 복사해서 저장해 주세요.

 

여기까지가 XML 사이트맵 파일을 저장하고 업로드 하는 방법이였습니다.

다음 과정은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와, 구글 서치콘솔에 RSS와 사이트맵 파일을 업로드 하는 것 입니다.

 

2019/12/17 - [수익형 블로그를 만들어보자] - 수익형 블로그 1단계) 블로그를 네이버검색 등록해보자 (웹마스터도구)

2019/12/17 - [수익형 블로그를 만들어보자] - 수익형 블로그 2단계) 블로그를 구글 검색에 등록해보자 (구글 서치콘솔)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