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우주씨

안녕하세요. 친절한 우주씨 입니다. 연일 실망스러운 소식이 들려오네요. 애플이 아이폰의 배터리 간편수리 보장법을 막는 로비를 했다는 소식이 있습니다.



(사진 : 마더보드)


우선 기사 전문의 링크입니다.

애플, 배터리 간편수리 보장법 막았다.


어제의 뉴스에 이은 추가 보도입니다. 

워싱턴포스트는 애플이 이용자 수리 권리를 보장하는 법을 무산시킨 적이 있다고 보도합니다.

거기에 인용된 기사가 위의 사진과 관련된 마더보드의 보도입니다.


" 공정 수리법 "이라고 불리는이 법안 은 전자 제품 회사가 교체 부품과 공구를 일반인에게 판매하게 하는 법이며,

 사용자의 수리 를 제한하는 " 소프트웨어 잠금 "을 금지 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당시 (5월 경) 애플을 비롯한 많은 회사들이 이에 반대를 하고 로비를 진행했다고 합니다.


여기까지 뉴스의 내용이였습니다. 어제 말씀드리길, 노후화된 기기들의 성능을 고의적으로 저하시켰다는 사실의 연장선에서.

사용자들의 배터리 수리를 방해했다는 점은 어떤 의미일까요.


현재 애플의 배터리 교체는 10만원 가량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기타 국내 핸드폰 브랜드들과는 가격차이가 상당합니다. (대략3만원 가량)

거기에다가, 애플의 수리 정책에 따르자면 사용자가 원하더라도 배터리의 상태가 기준에 맞지 않으면 수리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저는 애플의 수리서비스를 이용해보지 않아 정확한 사실을 좀더 알아보겠습니다. 다른 이용자의 제보입니다)


그래서 수많은 사설 업체들이 있고, 스스로 교체를 할 수 있는 물건들을 이베이나 아마존 등에서 구입할 수 도 있습니다.

물론 그렇게 수리를 진행할 경우에 애플의 정식 서비스를 받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꺼리고 있구요.


그냥 뉴스를 그대로 이어서 생각해 봅시다.

"아이폰의 배터리가 노후화 되면, 일정 배터리 이하에서 속도를 저하시켰다'

'배터리의 수리 권리는 애플이 가지고 있겠다'


이건 좀 너무하지 않나 생각이 됩니다. 물론, 배터리가 노후화 되거나, 추운 온도이거나 이런 경우에 성능을 저하시켜서 얻는 이득도 있습니다.

적어도 핸드폰을 오래 사용할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중요한 것은 사용자에게 선택권을 강요하면 안된다는 점입니다.

물론 배터리 간편수리 보장법을 막은 데에, 애플이 일체형 디자인을 유지하기 위해서 노력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두가지를 엮어서 해석하면, 쉽게 납득이 되지 않습니다.


원래도 iOS 계열은 사용자의 선택권을 줄이면서 최대 효율을 얻어왔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실제 핸드폰의 수명과 기능과 연관이 된다면(이번 배터리사건 처럼)

다운그레이드를 가능하게 하던지, 배터리 자가교체를 인정해주던지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애플이 어떻게 대응을 해 올지 궁금합니다.

여기까지 친절한 우주씨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